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주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로…에너지 대전환 이끈다

카테고리 없음

by 제주일보 2023. 1. 12. 12:02

본문

728x90

제주도, 12일 로드맵 발표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집중...출력 제어 최소화 대책 수립도

 

제주지역 전력에너지 생산·공급·활용 체계를 그린수소 등 청정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하고, 이를 산업과 생활에 확대 적용하는 ‘에너지 대전환’이 본격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12일 발표했다.  

 

오영훈 지사가 12일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제주도는 에너지 생산, 에너지 활용과 전환, 산업화와 취약계층 보호 등 전력 시장과 제도의 선제적 운영으로 청정에너지 거점·특화 지역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탄소중립 2050 실천과 선도적 전환 모델 구축에 앞장서겠다는 구상이다. 

로드맵에는 핵심 과제로 풍력·태양광 공공성 확대, 기저전원 그린수소 발전 전환, 산업 분야 청정에너지 전환, 생활 영역 청정에너지 전환,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 융합 제조업 등이 포함됐다.

제주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기반 생태계 구축으로 국가 수소경제에 이바지하는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의 구체적 계획과 전략을 밝힌 것이다. 

우선 제주도는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의 공공성을 확대해 재생에너지에서 발생한 이익을 도민사회에 환원하고, 기저전원을 그린수소로 전환한다. 

제주도는 전국 유일의 공공 주도 풍력개발 정책 운영 경험과 성과를 쌓은 만큼 풍력과 태양광 발전의 공공성을 강화해 정의로운 분배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도내 전력 공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화력발전소 연료원을 그린수소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고, 전력 공급을 모두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로 담당하는 ‘그린수소 아일랜드’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LNG복합발전기의 수소 혼소를 50% 이상으로 확대하고, 신규 LNG 도입 시 수소 발전 및 수소 전소터빈을 도입해 나가기로 했다. 기력 발전기도 점차적으로 수소 전소터빈으로 전환한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에너지 활용과 전환을 통해 생산된 청정에너지를 1차산업과 관광, 교통·수송 분야 등 산업·생활 영역에 광범위하게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1차산업에서는 농기계·선박 등 수소 모빌리티를 도입하고, 하우스·양식장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한다.

도내 에너지 다소비 건물인 대규모 숙박시설의 사용 전력과 냉·난방 등 가스·석유류 사용을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도록 유도한다. 

제주도는 공공 영역에서부터 버스·청소차·화물차 등을 수소차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고, 가정 내 LPG·LNG 사용에 수소 혼소·적용을 통해 거점·특화 지역을 조성·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제주도는 청정에너지 산업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육성과 함께 취약계층에 대한 두터운 보호를 추진한다. 

제주에서 가장 먼저 시작하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시장(실시간 시장·저탄소중앙계약시장) 시범 적용을 기회 삼아 전력 데이터 및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고,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 계획과 연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신성장동력 확보에도 힘을 쏟는다. 

사양화가 예상되는 탄소배출 분야에 대한 선제적인 전환 정책을 마련하고,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풍력‧태양광 공유화 기금 등을 활용해 정의로운 분배를 추진해 나간다.

제주도는 이들 핵심 과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에 집중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등 유연성 자원을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관련, 오영훈 지사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위기를 극복할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에너지 전환을 통해 대전환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제주의 미래 성장엔진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진유한 기자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9710 

 

각종 개발사업에 제주지역 초지 매년 감소 대책 시급 - 제주일보

생물다양성 보전과 수자원 함양, 온실가스 저감 등 공익기능이 많은 제주지역 초지가 각종 개발사업으로 면적이 매해 감소하면서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해 지고 있다.이와 관련해 제주특

www.jejunews.com